분류 전체보기(271)
-
자료구조의 기초 1
1. 자료구조의 개요 - 자료란 본질에 대한 현상을 나타내는 기호라고 정의할 수 있습니다. - 자료구조를 이용한 자료 처리 작업은 접근(access), 삽입(insertion), 삭제(deletion), 검색(searching), 복사(copying), 정렬(sorting), 병합(merging), 분리(splitting) 7가지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2. 배열, 스택, 큐의 개념 - 배열 : 배열은 같은 데이터 타입을 갖는 둘 이상의 여러 데이터 항목들이 그룹적으로 모여서 하나의 변수이름으로 인덱스에 의해 호출되는 자료구조라고 할 수 있습니다. - 스택 : 스택이란 자료의 삽입과 삭제가 한쪽 끝에서만 일어나는 자료구조입니다. 스택에서 자료의 삽입과 삭제는 PUSH와 POP연산을 통하여 행할 수 있습니..
2013.11.24 -
What Is A Mash Up?
웹 2.0의 구성 요소로 주목을 받고 있다. 구글이나 야후, 마이크로소프트 등이 제공하는 지도 서비스, 인터넷 서점 아마존이 제공하는 상품 정보 등, 자사의 기술을 웹 서비스로서 API를 공개하는 경우가 늘고 있으며, 이들 기능에 독자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융합하여 새로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미국을 중심으로 다수의 매시업 사례가 등장하여, 범죄 통계 정보, 허리케인 정보, 주유소의 가격정보처럼 실용적인 것에서부터 온천 정보, UFO 목격 정보, 뉴욕의 영화 위치, 현장정보처럼 취미나 엔터테인먼트에 관한 것까지 여러 종류가 있다. 매시업의 원천이 되는 API의 개발에도 박차가 가해지고 있다.A mashup, in web development, is a web page, or web applicati..
2013.11.20 -
알고리즘의 기초 & 유클리드 호제법
v 연구 분야는 알고리즘의 고안, 알고리즘의 검증, 알고리즘 분석, 프로그램 테스트가 있습니다.v 프로그램은 유한성(finiteness)을 만족시키지 않을수도 있습니다.v 알고리즘을 표현하는 방법은 자연어(Natural Language), 순서도(Flow Chart), 프로그래밍 언어(Programming Language), 의사코드(Pseudo Code)가 있습니다.v 정형화된 알고리즘 비교 분석 방법에는 경험적 분석(Empirical analysis)과 수학적 분석(Mathmatical analysis)이 있습니다.v 알고리즘의 성능을 정형적으로 표현하는 가장 일반적인 방법은 O-표기법 (big-Oh notation)입니다. 유클리드 호제법 유클리드 호제법(- 互除法, Euclidean algorit..
2013.11.14 -
레코드
v 레코드란 필드라 불리는 한 개 이상의 자료 원소로 구성되며 필드는 항목이다라고 할 수 있으며 각각의 필드는 서로 다른 데이터 형태와 크기를 가질 수 있습니다. v 레코드는 저장되는 방식에 따라 고정길이 레코드와 가변길이 레코드로 나뉩니다. v 고정길이 레코드란 구현이 용이하지만 가변길이 레코드에 비해 융통성이 떨어집니다. 또한 파일 내에서 레코드의 삽입, 삭제 등이 빈번한 경우에 유리합니다. v 가변길이 레코드란 각 레코드의 끝에 단순히 분리기호를 사용하는 바이트 스트링 표현방식과 하나이상의 고정길이 레코드를 포인터로 연결하거나 예약 기억 장소 기법을 사용하는 표현 방식이 있습니다.
2013.11.14 -
무료 Grid 와 Chart
우선 기준은 Flash/ActiveX 를 사용하지 않고, Javascript, JQuery, HTML5 , CSS 등을 활용한 Open Source 중에서 이것저것 검색해 봤습니다. (브라우저 기준은 대부분 IE8.0 이상에서 구현이 되면 문제가 없을듯 싶습니다. Chrome 등의 크로스 브라우징에 대한 부분도 감안했습니다.) 1. Chart 부분 내부 프로젝트에서 사용되었던, 무료 차트 JqPlot를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 가장 무리가 없을듯 싶습니다. 참고로 여기 저기 돌아다니다가, 잘 정리해 놓은 블로그 글이 있어서 공유 드립니다. 13개의 BEST JQuery Charts 를 소개한 글입니다. http://codegeekz.com/best-jquery-chart-libraries-for-buildi..
2013.11.05 -
DB 설계하다가 궁금한점
1. 일반적인 날짜 값을 위해 char(14) , YYYYMMDDhhmmss 와 Date 의 효율 ⇒ 우선 결론!!! DATE 형식을 사용하겠습니다. !!! 단, YYYYMMDD 와 hhmmss 로 구분이 된 경우에만 char 타입을 사용하겠습니다. (이유) 일반적으로 데이터의 무결성에 대한 문제를 위해서라면, 속도면에서 보단, date 를 사용하는 것이 보다 효율적임. 하지만 일자까지만 표현하는 부분 예를 들어 YYYYMMDD 만 사용한다면, 이때는 char(8)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참고 : http://www.sqler.com/542863 (공부) DATE TYPE 은 내부적으로 7 바이트(byte)의 고정길이 숫자로 관리되어 진다. 숫자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 연산이 가능하다. (단 DA..
2013.1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