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에하나씩/트렌드, 기초 IT 정보(36)
-
CORS ( Cross Origin Resource Sharing ) 가 뭔지 아나요?
( 표시 난다 으헤헤헤... ) Ajax를 많이들 쓰지만, 실제 도메인이 다른 크로스 도메인 문제가 가장 골치가 아프다. 그래서 W3C에서, 크로스 도메인 간에도 통신이 가능하도록 CORS 를 만들었다는데, CORS 의 핵심은 요청 받은 웹서버에서 수락하는 형태의 프로토콜을 추가, Access-Control-Allow 류의 헤더를 보냄으로써, 크로스 도메인간의 통신이 가능하도록 허용한다. 라는 말이다. 근데.. 이게.. 아직.. Internet Explorer 8 에서는 이 스펙을 지원하지 않는다고 하니... 뭐.. 상용화를 위한 개발용으로 제작하기에는 아직 멀은듯;;; 그냥 알고만 있자~ 상식으로 앞으로 좀더 추이를 보고, W3C , Cross-Origin Resource Sharing http://w..
2011.05.03 -
CDN 에 대한 용어 정리
용어설명입니다.. 관련 글은... http://www.bloter.net/archives/57312 에서 글을 읽다가.. 아래와 같은 용어를 자세히 설명해주고 있어서.. 정리 했습니다. CDN 은 클라우드 서비스의 용어이며, 실제로 쉽게 접하기 힘든 용어 였지요 왜??? 차가 필요해? CDN(Content Delivery Network): 인터넷의 전송품질 보장과 속도 문제 해결을 위하여 GSLB(Global Service Load Balancing)을 통한 통신사업자(ISP)간 트래픽 분산 처리를 함으로써 고객에게 최상의 전달 경로를 제공하는 기술 (네이버 백과사전) CDN은 ISP(Internet Service Provider)의 네트워크 하단에 여러 대의 '캐시서버(임시저장장치)'를 설치, CP(C..
2011.04.18 -
Google의 Page Speed Online 서비스 소개
Google에서는 참으로 다양한 서비스들을 선보이고 있네요. Google Lab에서 제공하는 Page Speed Online 이라는 서비스를 소개 합니다. 사이트 URL : http://pagespeed.googlelabs.com 웹페이지의 속도를 측정하는데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해당 웹페이지를 자근자근 분석하여 속도를 개선할 수 있는 방안까지 제시를 해주고 있습니다. 우선순위를 구분하여 빠른 웹페이지 구현을 위한 최적화 옵션을 제공 !! (앞으로 많은 참조 가능 할것 같습니다. ^^) 또한 모바일 페이지까지도 분석이 가능하네요~ 영어가 좀 되시는 분들은 아래 URL로 보세요.. 아주 자세히 설명해 놓은 곳을 링크 드립니다. http://googlewebmastercentral.blogspot.com/..
2011.04.05 -
tutsplus 라는 알찬 사이트 정보 하나 공유드립니다.
tutsplus.net 이라는 사이트에 대해 알고 계시죠... ?? http://tutsplus.com/ 제가 관심있는 분야의 다양한 정보(가이드,팁, 튜토리얼..)등이 정말 깔끔하게 잘 정리가 되어 있습니다. 아래 캡쳐 해놓은 것과 같이 다양한 분야들의 정보들을 제공해 주고 있습니다. 단 영어로 제공하고 있다는 점만 제외하고는 알찬 정보들이 많고, 또한 지속적으로 업데이트가 꾸준히 진행되고 있답니다. 처음 해당 사이트을 처음 접했을때는.. 음.. 득템했다라는 느낌이 있었습니다. ㅎㅎ 좋다는 이야기 이죠... 아하하 1. ae tuts+ Aetuts+ | Adobe After Effects tutorials from beginner to advanced. motion graphics , products ..
2011.03.21 -
Facebook 소셜 앱 통계 사이트 (AppData.com) 알죠?
우선... facebook에 런칭한 소셜 앱이 있는 업체에 있는 분들이라면 이 사이트 정도는 잘 알것 같다. http://www.appdata.com App 순위 와 개발사 순위 및 관련 정보들이 자세히 나온다. 그것 외에도 월간,일간별 사용자 와 가입자들의 순위가 자세히도 나오니.. 참고하기 좋은 사이트 이다. 위에 나오는 몇가지 용어를 설명하면 - MAU(monthly active user) - DAU(daily active user) 아래는 보통 웹사이트 통계 지표로 자주 사용하는 약어 인데.. 혹시나 해서.. ^^ UV/PV의 기준시간이 있을 것이겠지만..대부분 하루 정도 아닐까? - UV(Uinque Visitor) : 순 방문자 - PV(Page View / Page Visit ) : 페이지 ..
2011.03.19 -
Google API Explorer 에 대해서 간단히 알아보자구
구글 API들을 인터렉티브 하게 테스트 해볼수 있는 웹툴이 공개되었다는 트윗글을 보고, 어떤 API을 제공하는지 간략하게 살펴 보도록 한다. 구글에서 제공하는 API는 많지만, 현재(2011년 3월 15일)에는 7개만 사용이 가능하다. 아래 웹툴에서 쉽게 사용하려고 하는 API들을 테스트 해보면 되는 거란다. 음.. 별도로 테스트 페이지 안만들어도 된다라는 뜻인가요? 오홋 결과까지 아래 창에 나타나니.. 좋다고 할수 있죠. https://code.google.com/apis/explorer/ 현재 제공하는 API는 아래와 같다. 1. Buzz APIs : 구글이 트위터를;; 뭐 그렇게 보면 된다. 난 안쓰니까.. 몰라 ㅎㅎㅎ http://www.google.com/buzz?hl=ko 2. CustomSe..
2011.03.15